본문 바로가기

인터넷프로토콜2

[인터넷프로토콜] Networking Devices 리피터(물리계층) -신호가 너무 약해지거나 손상되어 동일한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길이를 늘이기 전에 신호를 재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를 증폭할 뿐만 아니라 재생도 가능하다. 허브(물리계층) -허브는 기본적으로 다중 포터 리피터이다. 허브는 서로 다른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스타 토폴로지의 커넥터와 같이 서로 다른 분기에서 오는 여러 개의 와이어를 연결한다. -허브는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 패킷은 연결된 모든 장치로 전송된다.(브로드케스트) 즉, 허브를 통해 연결된 모든 호스트의 충돌 도메인은 하나로 유지된다. 또한 데이터 패킷의 최적 경로를 찾을 수 있는 지능이 없기 때문에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허브 유형(물리계층) -액티브 허브(avtive hub) : 전원 공급 장치.. 2024. 3. 12.
[인터넷프로토콜]OSI Architecture 아래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이다. 아래에서부터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계층, 전송계층, 세션계층, 프레센테이션계층, 애플리케이션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리계층(Physical Layer) -이 역할에는 물리적 미디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물리적 링크의 설정, 유지 관리 및 종료 관리를 한다.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종단 장비 간의 물리적 및 전기적 인터페이스도 정의한다. -전송 방법 및 전송 매체 유형에 따른 인코딩 체계를 결정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전송된 비트에 대한 동기화 및 식별 기능을 한다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흐름 제어 메커니즘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 2024.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