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터넷프로토콜

[인터넷프로토콜] Networking Devices

by goblin- 2024. 3. 12.

리피터(물리계층)

-신호가 너무 약해지거나 손상되어 동일한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길이를 늘이기 전에 신호를 재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를 증폭할 뿐만 아니라 재생도 가능하다.

 

허브(물리계층)

-허브는 기본적으로 다중 포터 리피터이다. 허브는 서로 다른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스타 토폴로지의 커넥터와 같이 서로 다른 분기에서 오는 여러 개의 와이어를 연결한다.

-허브는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없으므로 데이터 패킷은 연결된 모든 장치로 전송된다.(브로드케스트) 즉, 허브를 통해 연결된 모든 호스트의 충돌 도메인은 하나로 유지된다. 또한 데이터 패킷의 최적 경로를 찾을 수 있는 지능이 없기 때문에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허브 유형(물리계층)

-액티브 허브(avtive hub) : 전원 공급 장치가 있고 네트워크와 함께 신호를 정리,  부스트 및 중계할 수 있는 허브이다. 중계기 역할과 배선 센터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 노드 간의 최대 거리를 확장하는 데 사용된다.

 

-패시브 허브(Passive Hub) : 노드에서 배선을 수집하고 액티브 허브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허브이다. 이러한 허브는 신호를 정리하거나 부스트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신호를 중계하며 노드 간 거리를 확장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지능형 허브(Intelligent Hub) : 액티브 허브처럼 작동하며 원격 관리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브릿지(데이터 링크 계층)

-들어오는 트래픽을 검사하고 필터링할지 전달할지 결정한다.

-기본적으로 컴퓨터 네트워크의 브리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섹션으로 나누는 데 사용되며, 이제 각 섹션에는 별도의 대역폭과 별도의 충돌 도메인이 있다.

-Transparent Bridge : 네트워크의 다른장치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 브릿지는 스테이션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때 네트워크를 재구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투명 브릿지의 주요 기능은 MAC주소에 따라 데이터를 차단하거나 전달하는 것이다'

 

 

Transpartent bridging

- Transpartent 브릿지는 네트워크를 두 개 이상의 충돌 도메인으로 부분적으로 분할할 수 있는 이더넷의 확장 기능이다.

IEE에서 정의한 Transpartent 브릿징은 802.1D의 업계 표준입니다.

-브릿지를 사용하게 되면 동시에 서로 다른 part에 있는 host들끼리 소통할 수 있다.(리피터는 충돌 나기 때문에 동시에 소통 불가능)

 

Learning : 디바이스의 mac 주소를 얻는과정

-브릿지가 처음 켜지면 브리지 테이블에 항목이 없는 상태이다. 트래픽이 브릿지를 통과할 때 발신자의 mac주소는 트래픽이 수신된 관련 포트와 함께 테이블에 저장된다. 

 

floading

-브릿지에 특정 주소에 대한 브릿지 테이블에 항목이 없는 경우, 브릿지는 모든 브릿지 테이블을 통해 소스포트(출발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에 트래픽을 투명하게 전달해야 한다.

 

Filtering

-브릿지가 연결되는 장치의 MAC주소와 연결된 포트를 학습한 후 연결하면 필터링을 통해 필터 시킨다.

 

forwarding

-단순히 한 브릿지 포트에 위치한 알려진 장치에서 다른 브릿지 포트에 위치한 다른 알려진 장치로 트래픽을 전달한다. 

 

Aging

-브릿지는 MAC주소와 연결된 포트 외에도 디바이스가 학습된 시간도 기록한다. 학습된 MAC주소의 에이징을 통해 브릿지는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이동, 추가 및 변경에 적응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학습된 후에는 브릿지는 에이징 타이머를 시직 한다. 브릿지가 프레임을 전달하거나 필터링을 할 때마다 디바이스를 호출하면 해당 디바이스의 타이머가 다시 시작된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브릿지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에이징 타이머가 만료되고 브릿지는 테이블에서 디바이스를 제거한다.

 

 

 

'인터넷프로토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프로토콜]OSI Architecture  (1) 202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