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네트워크

[Network]protocol layer, service models

by goblin- 2023. 9. 6.

계층구조(Layer)

계층구조는 크고 복잡한 시스템의 잘 정의된 특정 부분을 논의할 수 있게 해 주며, 이러한 단순화는 매우 중요하다.

시스템이 계층구조를 가질 때, 그 계층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현을 변경하는 것도 매우 쉽다. 에러를 발견할 경우 구조화되어있기 때문에 오류를 수정하기 쉽다. 재사용성도 높아지게 된다. 

reference mode : layer를 표준화한다.

 

 

 

Internet protocol stack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계층

-인터넷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이 포함하는 대표적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HTTP : 웹 문서 요청과 전송 제공

-SMTP : 전자메일 전송 제공

-FTP : 두 종단 시스템 간의 파일 전송 제공

 

트랜스포터(Transport)계층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은 두 가지 종류로 나뉘게 되고, 이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TCP : 애플리케이션에게 연결 지향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UDP : 애플리케이션에게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Network) 계층

-출발지 호스트에서 인터넷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TCP 또는 UDP)은 트랜스포트 계층 세그먼트와 목적지 주소를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목적지 호스트의 트랜스포트 계층으로 세그먼트를 운반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링크(Link) 계층

-각 드에서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그램을 아래 링크 계층으로 보내고 링크 계층은 그 데이터그램을 경로상의 다음 노드에 전달한다.

-다음 노드에서 링크 계층은 그 데이터그램을 상위 네트워크 계층으로 보낸다

 

물리(Physical) 계층

-링크에 의존하고, 더 나아가 링크의 실제 전송매체(꼬임쌍선, 단일 모드 광케이블 등)에 의존한다.

 

 

App protocol,transport protocal, networt protocal, Link protocal, physical protocal(빨간점선)은 직접 ex) APP에서 APP로 가는 것처럼 생각한다. (실제로는 계층을 타고 단계를 거쳐 도착하게 된다.) 계층 사이마다 interface가 존재한다.

 

ISO/OSI reference model

ISO/OSI의 계층은 2가지가 추가되어 7 계층이다.

 

presntation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도록 허용(예: 암호화, 압축, 기계별 규약)

session : 동기화, 체크포인트, 데이터 교환 복구

 

Encapsulation(캡슐화)

위의 message, segment, datagram, frame 은 각각의 계층에 단위들이다.

message : application packet의 단위

segment : transport packet의 단위

datagram :  network packet의 단위

frame : physical packet의 단위

 

application에서 physical로 가는 과정을 Encyption(encapsulation) 과정이라 하고

physical에서 application으로 가는 과정을 Dectryption(decapsulation) 과정이라 한다.

'컴퓨터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Web and HTTP  (0) 2023.09.14
[Network]principles of network  (0) 2023.09.07
[Network] delay, loss, throughput in networks  (0) 2023.09.05
network core  (1) 2023.09.03
인터넷이란  (1) 2023.08.30